목차 : http://wiki.emba.kr/doku.php?id=%EA%B8%B0%EC%97%85%EC%9E%AC%EB%AC%B4
Corporate Finance : Overview
강의에서 다루는 내용
Capital Structure (자본구조) : 회사의 자기자본과 부채(타인자본) 비율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
IPO (Initial Public Offering: 상장)
SEO (Seasoned Equity Offering: 증자)
배당(dividend)과 관련된 정책, 자사주 매입은 어떻게 결정하나
불확실성과 투자 (real option)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 Agency Problem (대리인문제)
Board of Directors (이사회)
M&A
Executive Compensation (최고 경영진 보상문제)
Microsoft 사례
배당을 2003년까지 하지 않음
대신 자사주 매입을 많이함
Agency Problem (대리인문제)
Agency problem (대리인문제): 현대 경영의 “전문경영인” 체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갑이 을에게 갑을 위해 일해 달라고 계약을 맺었을 때, 을이 갑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기 보다는 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현상
Agency problem을 완화하기 위한 감시체제: 주주총회, 이사회(주주총회보다 더 상설적으로 회사를 감시, 모니터링), 신용평가기관(credit rating agency: Standard&Poor’s, Moody’s, Fitch Ratings, etc)와 같은 제3의 agency
Manager의 근무태만(shirking behavior)가 발견될 때는 어떻게 되는가?
주식 가격이 하락하고 (Competitive capital market)
주주는 경영자 교체를 요구하고 (Competitive managerial labor market)
회사는 잠재적 M&A 대상이 되고 (Competitive corporate takeover market)
상품시장도 잃게 됨 (Competitive product market)
대리인 문제는 아래와 관련되어 있다
Payout policy (배당정책) : 왜 배당금을 지불하는가? 왜 더 자주 또는 많이 지불하는가?
M&A : 가치가 증가하는가? 감소하는가?
Capital expenditure (자본지출) : 과대 투자 또는 과소 투자?
임원 보상 : Stock Option, 성과연동 보상
Corporate governance (기업의 소유/경영구조) : 어떻게 주주를 보호할 것인가?
계약이론 (Contract Theory)
정보 비대칭 하에서 경제 주체들이 맺는 다양한 계약들에 관련된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이론
2016년 노벨경제학상은 이 이론을 연구한 올리버 하트 하버드대 교수와 벵트 홀름스트룀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교수가 받은 바 있다. 홀름스토룀 교수는 기업의 주인-대리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의 주인인 주주와 대리인인 최고경영자의 유인을 일치시키는 인센티브 제도를 심도 있게 연구하였으며, 이 연구는 최근 많은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성과연봉제의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하트 교수는 모든 계약은 불완전하다는 가정 하에, 계약서에 기입되지 않은 상황 발생 시 누가 최종결정권을 가지는지, 이러한 기업 내 역할 분담이 기업 지배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여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하지만, 이 이론은 “기업재무”에서는 이미 틀린 이론이다.
-
Lecture 1. Introduction to Behavioral Finance
고전학파 | 케인즈학파 |
인간의 합리성에 대한 믿음 | 심리적요인 |
선택의 자유 | 시장은 완벽하지 않다 |
작은 정부, 시장간섭배제 | 정부의 역할 |
1970년대 Oil Shock 이후 부활 | 대공항이후 탄생 |
인플레이션 문제 중시 | 실업문제 중시 |
Freshwater macroeconomics | Saltwater macroeconomics |
공화당의 경제정책 뿌리 | 민주당의 경제정책 뿌리 |
Behavioral (Yale, Harvard) | Traditional (Chicago) |
Inefficient | Efficient (정보의 효율성) |
Sentimental | |
Irrational | Rational |
Limited Arbitrage | Perfect Arbitrage |
전통적 재무이론의 두가지 핵심 가정
완벽한 투자자
완벽한 차익거래
전망이론 (Prospect Theory)
위험을 수반하는 대안들 간에 의사결정을 어떻게 내리는지를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전망이론이 만들어 내는 이론적 모델은 실생활의 의사결정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지 최적화된 결정을 내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이론은 심리학적 연구를 토대로 하여 행동경제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