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강_수업1_-_5월20일
미학 (Aesthetics)
'미와 예술'이라는 문제 + '철학'이라는 방법
“미와 예술에 관한 철학적 사유를 다루는 학문”
철학이란? 달없는 그믐밤에 연탄방에 들어가서 검은 고양이를 바라보는 것
종교란? 달없는 그믐밤에 연탄방에 들어가서 검은 고양이를 바라보는데 검은 고양이가 없는 것
철학적으로 다루기 좋은 과제: 본질과 가치
미학적 질문의 예들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은 어떤 가치를 갖는가?
예술이란 무엇인가?
DUCHAMP, Marcel, Fountain, 1917
Michaelangelo <Pieta>, 1499
예술이라는 말과 체제와 개념
'예술'이라는 말
현대적 예술의 개념
창조, 상상력, 감성의 표현, 비합리적 활동, 천재 등
규칙? 모방? 미의 추구?
서양 고대의 시에 대한 사고
시의 기원은 코레이아 (Chorus) : 종교적 제식, 주술, 축제, 유희
코레이아의 본질은 영감 (Inspiration)
시인은 “자신 밖에 있는 어떤 힘에 사로잡힌 사람” (Muses)
서양 고대의 회화에 대한 사고
회화는 테크네 (Techne)
사람이 기술을 사용하여 행하는 모든 제작
영감이 아니라 기능(솜씨)에 의존한다
플라톤과 회화
비합리적인 시 - 뮤즈의 선물 - 영감 (Inspiration) - 인식적 무가치
반면 회화는 …
합리적인 회화 - 인간의 제작 (techne) - 법칙(Kanon)에 따른 모방 (mimesis = imitation)
하지만 플라톤의 존재론(세계관)에 따를 때, 무가치하기는 마찬가지 (이중의 모방)
이중모방 조차도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 Eikon(정확한 이미지)이 아닌 Phantasma(왜곡된 이미지, 환상, 눈속임)의 제작
미 개념의 변천
플라톤 : 항상 그 자체로 아름다운 사물이 있다
흄 : 미는 사물 자체 속에 있는 성질이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마음 속에 있다
칸트 : 미에 대한 판단은 주관적이지만 보편적이다
쇼펜하우어 : 미적 태도를 취하기만 하면 그 때 보는 모든 대상은 아름답다
칸트의 미
미적 판단은 주관적 쾌의 판단이므로 사람마다 다를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미적 판단에 대해 다른 사람의 동의를 요청할 수 있다는 것이 오히려 '상식'이다
칸트: 주관적이지만 보편적일 수 있는 판단. 어떻게?
The Oath of the Horatii, 1784
The Death of Sardanapal, 1827
/var/www/wiki/data/pages/3강_수업1_-_5월20일.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5/20 02:12 저자 147.47.10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