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강_수업1_-_5월27일
인문학은 흔히 “문사철”
문학, 역사, 철학
어문 :
역사 : 동영사, 서양사, 국사, 미술사
철학 : 철학, 미학, 종교
인문학의 대상
자연과학은 자연 현상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
인문학은?
Humanities라는 명칭에서 출발
Cicero의 Humanitas
인간임, 인간다움을 의미
의학 생물학도 인간을 다룸
생물체로서의 인간이 아닌 정신으로서의 인간?
인문주의의 이념
서술적 개념으로서의 인간 vs. 규제적 개념으로서의 인간
“저 인간 인간도 아니야”
“저 사람 역시 사람이야”
문화적 가치를 창출, 향유, 실현하는 존재로서의 인간
인문학이란?
내가 어디에서 왔고,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야할 것인가를 다루는 문제
문학의 의미, 역사의 의미, 철학의 의미는 그 안에서 찾는 과정
인간다움이란?
다원화된 시대
과학주의 시대
인문학이 추구할 인간다움은?
4차 산업 혁명
창조경제 :
창조산업 (Creative Industry) : 1970년경 영국에서 시작
과거에는 지식산업사회
영화산업, 디자인, 예술 등 부가가치가 커지는 산업
지식보다는 아이디어가 중요
인간에 대한 이해에 기반한 아이디어가 중요
산업디자인에 대한 폭발적인 성장 → 인간의 감성에 기반한 산업
점차 자연과학적 지식도 중요하지만, 인간에 대한 감성, 이해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음
인문학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음
중국의 팽창
대제국이 성장하면 물리적인 성장 뿐 아니라 정신 세계까지 영향을 미침
유장 산업 : 유교와 관련된 모든 장전을 만드는 사업을 진행 중
동북아의 경제를 유교적인 것으로 출발
정신적인 제국주의 건설. 공자학교
괴테하우스, 독일문화원 등에서 영화 관람
공자학교 : 중국 문화원. 문화적 정신적 헤게모니를 잡으려는 노력 진행 중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막강
독일의 철학자 헤겔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녁에야 날아오른다.”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의 어깨에 앉아 있는 부엉이는 여기서 철학을 상징한다. 대낮에는 세상을 볼 수 없는 주맹증(晝盲症)에 걸린 새가 황혼녘, 그러니까 세상사의 복잡한 변동이 가라앉은 시점에야 그 세계를 냉점히 바라볼 수 있다는 얘기다.
개인과 공동체
매춘을 불법화하는 것은 정당한가?
징병제인가? 모병제인가?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옳은가?
철인정치
참 진리를 아는 자만이 적절히 통치
지도자의 엄격한 훈련
17-8세까지의 예비교육
3년간의 군사 훈련
10년간의 고등학문, 수학
5년간 철학 공부
이후 하위직 봉사
공동체를 위해 잘 양육되는 것이 최고의 가치
성 어거스틴 (4C)
플라톤의 사고로 기독교를 집대성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차이점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이데아는 개별적 사물들 속에 들어 있음
플라톤은 초월적인 형태로 존재
플라톤은 명상과 성찰, 계시를 중요시함
아리스토텔레스는 구체적인 관찰을 중요시함
아리스토텔레스는 관찰, 자연과학에 가까움
자연, 신의 섭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과의 초월적인 접촉을 중요시함
계시 신학, 명상적인 기도 등을 통한 신앙활동
기독교가 자리 잡는 과정에서 묻거나 따지지 말고 계시를 통해 받아들이자는 의견
성 어거스틴 [St. Augustine ]
성 어거스틴(St. Augustine)은 354년 타카스테에서 태어났다.
신앙심 좋은 어머니 모니카의 사랑 안에서 자라났지만 하나님을 애써 외면하며 젊은 시절 방탕과 혼돈 속에서 살았다.
카르타고에서 공부하면서 왕성한 지적 욕구를 채우는 날들을 보냈지만 여전히 하나님을 만나지 못해 허무한 날들이 계속 되었다.
384년 밀라노로 건너가게 되면서 암브로우스 주교를 만나고 그의 설교를 통해 감동을 받는다.
그 일은 그가 하나님을 다시 바라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2년 뒤 어거스틴은 회심하게 된다.
397년 히포의 주교가 된 어거스틴은 3년간 『참회록』을 집필한다.
토마스 아퀴나스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신학
출생 - 사망 : 1224년 / 1225년 ~ 1274년
이탈리아의 가톨릭 신학자, 도미니크 교단의 수사.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제자. 1323년 성도(聖徒)의 열(列)에 들었다. 그의 사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중에서 유물론적 요소를 제거하고 관념론적 요소인 부동(不動)의 동자(動者), 제1원리로서의 신이라는 관념 등을 취하여 기독교에 적응시킨 점이 특징이다.
또한 신(新)플라톤학파의 초자연적인 신적 세계라는 생각도 받아들였다. 보편논쟁에 관해서는 '중용의 실재론'의 입장을 취하여, 보편은 개개 사물 이전에 존재하며(신적이 성속에) 모든 사물 속에 존재한다(개개 사물의 보편으로서). 모든 사물 뒤에 존재한다(보편을 인지한 인간의 마음에 나타나는 것으로서)고 설명하였다.
근세의 물결1: 르네상스 (14-16세기)
Renaissance: 부활, 재생을 의미
무엇의 부활?
고대 사상가들에 대한 관심
휴머니즘 : 개인의 존엄성, 자연과 개인적 경험에 대한 새로운 모색
Ad Fontes : ~로 / Fountain (근본) → 근본으로 가자
그리스 철학으로 가자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자라는 개인적 경험의 강조
/var/www/wiki/data/pages/4강_수업1_-_5월27일.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5/27 05:46 저자 147.47.108.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