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강_수업2_-_6월17일
잘 사는 것이 가능이나 할까?
잘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
다섯가지 질문
무엇이 정말로 존재하는가? (존재론(ontology). 형이상학(metaphysics))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인식론)
좋은 논증 (Argument) 이란 무엇인가? (논리학)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실천철학, 윤리학, 가치론)
이전 철학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철학사)
물리주의 (Physicalism)
존재하는 모든 것은 물리적이다
물질적이지 않은 존재는 없다
물음: 정신이나 의식은?
답: 정신이나 의식 역시 물리적 현상이다
자유의지와 결정론
물질과 자연 법칙
결정론
자유의지
도덕적 책임의 귀속 문제
무엇이 좋은 논증인가?
논리학
논증 (argument)은 무엇인가?
문장 혹은 명제의 묶음, '결론'과 '전제'로 구성
논리학 : 어떤 방식으로 문장 혹은 명제를 제시하여야 논리적인 설득력이 있는지를 따지는 학문. 곧 좋은 논증은 무엇인지를 따져보는 학문
몇 가지 예 1
A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B
어떤 사람은 아침 잠이 없다
데카르트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데카르트는 아침 잠이 없다
C
고래는 물고기다
물고기는 코를 곤다
그러므로 고래는 코를 곤다
논리학자는 전제와 결론의 관계에 관심이 많음
전제가 참이냐 아니냐는 관심이 적음
전제가 참이라면 결론은 거짓일 수 없음
항상 결론은 참이여야 한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윤리학, 가치론
이 질문의 두 가지 의미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야 하는가?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 삶인가?
두 질문 모두 윤리학의 고민
주관주의
장점 : 자유로운 존재
단점 : 용납하기 힘든 '기호'
객관주의
장점 : 보편적 가치!
단점 : 정당화의 문제
타협점
상호주관성
주관주의자 중심으로 대표적인 합의를 이끌어냄
기본적으로 주관주의자
문제점 : 1930년대 독일 → 유대인 박해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 삶인가?
옳은 행동의 기준은 무엇인가?
그런 기준은 가능한가?
가능하다!
공리주의
도덕적 의무론
공리주의
다양한 상황에서 깔끔하고 합리적인 기준 제시
사고 실험
제동 장치가 고장 난 기차의 예
부잣집 청년과 사고 현장의 예
도서관의 책 반납 꼭 해야 합니다?
문제점
왜 질문을?
과연 답이 있을까?
그러나 수 많은 답을 이미 가정하고 있다!
이미 누군가가 이 문제를 검토한 후 내린 답을 우리는 아무런 의심 없이 받아들이고 있는 상태
종속성, 창조력, 그리고 아무도 가지 않은 새로운 길
생활 속의 내가 할 수 있는 철학
두 가지의 질문
나는 정말로 무엇을 좋아하는가?
나는 정말로 무엇을 잘 하는가?
양자의 조화와 통일
/var/www/wiki/data/pages/7강_수업2_-_6월17일.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6/17 03:45 저자 147.47.110.218